본문 바로가기
일상 ordinary life

농작물 나눔

by 닉엄피 2024. 4. 28.
728x90

얼갈이를 키웠는데, 판매할 곳도 없이 너무 많이 키웠습니다.

부모 형제 가족들은 된장국, 겉절이, 물김치 등등 얼갈이 풍년을 맞이한 분위기입니다.

동생의 식당하는 지인에게도 며칠 후 마음껏 가져가기로 나눔 예약됐습니다.

 

약을 치지 않아서 얼갈이 잎에 구멍이 있는 게 아쉬울 따름이네요.

어린잎에 구멍이 있는 것을 보고 한랭사를 씌웠는데, 너무 늦게 씌운 것 같습니다.

 

 

밭에서 재배한 농산물을 나눔 한다는 것에 대해 생각을 해봤습니다.

꼭 필요로 하고, 원하는 사람에게 나눔 한다면 서로 기쁘고 반갑겠지요.

 

직장 선배가 저한테 나눔 할 때, 그때의 제 마음을 설명한다면, 일부러 먼 거리를 가서 가지고 와야 하고, 집에서 다듬고 씻어서 정리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다듬고 남은 찌꺼기들은 버려야 하고, 뒷정리하는 번거로움에 귀찮기도 하고, 다듬는 데 허리도 아프고 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일부러 저를 생각해 주고 찾아준 마음에 감사한 마음은 있었습니다.

 

 

물로 흙을 씻어서 대충 다듬고 담아봤습니다.

결과는 사진 한 장에 비닐봉지 2개이지만, 시간도 오래 걸리고, 허리도 아프고, 입에서는 아이고 소리가 절로 나오면서 다듬었습니다.

 

 

한랭사로 보호해 주니 구멍은 덜 생기는 듯하고, 한랭사 속 잡초를 뽑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너무 많습니다. 지나가는 동네 분에게도 나눠주고 했지만 얼갈이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며칠 후 식당하는 분이 뽑아 가실 건데, 많이 가져가시면 좋겠습니다.

 

 

한랭사는 파종하고 바로 씌워야 좋을 것 같습니다. 한랭사 내부가 잡초 숫자도 적어 보이네요.

 

얼갈이, 감자, 상추, 대파 덕에 농업경영체가 됐습니다.

합격 기념으로 나눠주고 있는데, 자동차로 몇십 분을 가야 하고, 낮 햇빛에 얼굴도 타야 하고, 허리도 아프고, 시간도 오래 걸리네요.

앞으로 농사를 어떻게 이어가야 할지 고민해 봅니다.

 

 

 

728x90